협동조합 소이랩 뉴스레터 17호 (월 1~2회 발행/발행일 2024.2.28) |
|
|
안녕하세요, 여러분! 🧡
2024년 2월 28일 수요일, 겨울의 마지막을 장식하며 여러분께 소이랩 뉴스레터 17호를 전달합니다. 시간이 정말 빠르게 흘러, 벌써 2월의 끝자락에 서 있네요. 지난 시간 동안 여러분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를 얻고, 여러분의 지속적인 응원과 소중한 피드백으로 소이랩은 더욱 성장하고 있습니다. 🧡🎉
새해가 시작된 이후, 여러분과의 깊은 소통과 공감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여러분의 지지와 사랑에 대한 우리의 감사함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습니다. 소이랩과의 모든 순간이 여러분에게 행복의 원천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변함없는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이번 17호 뉴스레터에서는 2월 동안의 활동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소이랩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여러분의 기대와 설렘을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봄을 기다리는 이 시기에 여러분 모두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라며, 여러분의 매일이 웃음과 즐거움으로 가득 차길 바랍니다. 2024년의 나머지 기간도 소이랩과 함께 뜻깊은 시간을 만들어가기를 기대합니다.
여러분의 사랑과 지지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발전하는 소이랩이 되겠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
|
[2024년 대구 도시문제발굴단 5기 시티 리서쳐스(City, Research, Us) 통합워크숍 Ⅱ진행]
지난 2월 15일, 도시문제발굴단의 열정적인 참여 속에 ‘통합 워크숍Ⅱ’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통합 워크숍Ⅰ 이후, 팀별 활동으로 다양한 주제에 관한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팀별 활동 내용]
- 건강(간접 흡연): 대구시 중구보건소 주무관, 중구 의원, 동성로 상가 운영자 인터뷰
- 생활 안전(공유킥보드 무단 방치): 대구시 PM 담당 주무관, 무단 방치 지역 거주자 인터뷰
- 주거(주거 접근성 편의 증진): 대구시 버스운영과 주무관, 남구 의원 인터뷰
- 가족(대구 청년, 지역에 정 붙이기): 북구 의원, 남구청년센터 사무국장 인터뷰
- 교육(지역별 교육 격차): 대학생, 학원 강사, 학부모 인터뷰
- 사회통합(취약계층 디지털 격차): 달성군 의원, 디지털 배움터 강사 인터뷰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발굴한 문제 정의 요소(facts, behaviors, goals, pains)를 조합하여 최종 문제 정의문을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 최종 문제 정의문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문제정의서를 완성했습니다. 문제 정의서 작성 과정에서는 (사)공동체창의지원네트워크 이철호 대표님과 마르텔로 전충훈 대표님의 멘토링을 통해 방향성을 점검하고 내용을 보완했습니다.
통합 워크숍Ⅱ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해관계자 인터뷰에서 발굴한 네 가지 요소(facts, behaviors, goals, pains) 점검 및 최종 문제 정의문 작성
- 최종 문제 정의문을 기반으로 문제 정의서 구체화
- 멘토링을 통한 문제 정의서 점검 및 보완
도시문제발굴단의 활동은 2월 29일에 진행될 결과 공유회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끝까지 응원해주세요~!!
그동안의 2024년 대구 도시문제발굴단 활동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2024년 대구 도시문제발굴단 활동 아카이빙 사이트] https://cafe.naver.com/daegucityresearchus
|
|
|
🌟[2023년~2024년 산격인지건강디자인, 경증 치매 어르신 거주 공간 개선 프로젝트Ⅰ 진행] 🌟
작년 말부터 올해 초까지, 대구 북구 산격 1동 영구임대아파트에서 경증 치매를 앓고 있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인지건강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산격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보험공단 대구북부지사의 협력 하에, 그리고 소이랩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실현되었습니다. 경증 치매 어르신이 거주하는 세 가구의 생활 공간을 방문 조사하고, 어르신들과의 깊은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거주 공간에 인지건강디자인을 적용하였습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어르신들은 처음에는 집주인의 눈치를 보며 불안해하거나 불신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우리 팀의 지속적인 방문과 진심 어린 대화를 통해 서서히 마음을 열고, 인지건강디자인을 적용하는 데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 주셨습니다. 시공이 완료된 후 어르신들은 “이제 마음 편히 밖으로 나갔다 올 수 있게 됐어요, 정말 고마워요.”, “문을 열 때마다 마음이 밝아져요.”와 같은 감사의 말씀을 전해 주셨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인지건강디자인이 단순한 환경 개선을 넘어서 당사자의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편의성 측면까지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앞으로도 인지건강디자인을 지속적으로 활용하여, 고령화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와 큰 영향을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
|
|
|
<2024년 한일 리빙랩 교류회@후쿠오카 - 인지증 프렌들리 센터 탐방>
2월 27일, 소이랩은 일본 후쿠오카시에 위치한 인지증 프렌들리 센터를 방문했습니다. 이 센터는 고령화 및 치매 대응에 앞장서며, 치매 당사자들에게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 및 네트워킹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치매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정보 전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탐방 동안 센터는 후쿠오카시의 고령화와 치매 현황, 그리고 센터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또한, 참가자들은 AR을 통해 치매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센터에서 적용된 인지건강디자인을 살펴보며, 한국과 일본 간의 의견을 교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특히, 소이랩의 ‘산격주공아파트 인지건강디자인 사례’를 공유하며, 양국의 다양한 관점을 통해 깊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고령화와 치매 대응에 앞장서는 소이랩을 지속적으로 지켜봐 주시고 응원해 주세요!
|
|
|
[도서안내] 현장에 바로 적용하기 위한 필독서 <ESG 실행전략 만들기> 85 법칙!
⚡🎉🎊👏
ESG경영 어떻게 하지? 경영자나 실무자, 대표나 활동가, 지속 가능한 사회에 관심은 있는데 무엇부터 해야 할 지 모르겠는 모두에게 소개하는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현실판 가이드.
SDGs 85가지 실천사례 소개 🖐 온라인 서점에서 절찬리 판매중입니다.
|
|
|
주소 : 대구 북구 대현로 3 (대현동) 2층 전화 : 053-941-9003
이 뉴스레터는 협동조합 소이랩의 고객, 명함교환, 사업참여자 등으로 알게된 분들에게 보내는 메일입니다.
|
|
|
|
|